728x90
반응형
Pro C 파일을 컴파일을하다가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.
INTERNAL ERROR: Failed assertion [PGE Code=90105]
인터넷 검색 결과, 두가지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었고 수행해보았다.
1) *.pc의 결과로 생성된 *.c, *.o 파일을 지워라.
=> 기존에 컴파일된 소스파일(*.c)이 존재해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이기 때문에 해당 파일을 지우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한다.
하지만 *.c, *.o 파일을 지웠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에러가 발생했다.
2) 컴파일 계정으로 컴파일 해야할 소스가 들어있는 폴더를 Write할 수 있는 지 확인해봐라.
=> 컴파일 계정이 소스가 있는 폴더의 Write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면 당연히 컴파일된 소스 파일을 생성할 수 없으므로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.
컴파일과 관련된 파일, 폴더에 대해 chmod 명령어를 사용해 모두 Write권한을 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또 에러가 발생했다.
두가지 방법이 모두 통하지 않자 당황할 수 밖에 없었다.
주위에 다른 개발자분들께 해당 문제를 공유했고 결국 원인을 찾았다!
바로 용량때문이었다. df -g 명령어를 이용하면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데 로그 파일 때문에 개발계 용량이 꽉 찬 상태였다.
로그파일을 지우고 컴파일을 하니 에러가 뜨지 않았으며 컴파일이 잘 되었다. 이 글을 보신 분들도 위에 두가지 방법이 통하지 않다면 용량을 꼭 확인해보세요~!
728x90
반응형
'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라클 SQL 함수 NVL, DECODE 사용방법과 예시 (0) | 2022.03.05 |
---|---|
오라클 SQL Merge문(머지문) 사용 방법과 예시 (0) | 2022.03.03 |
ORA-00060 deadlock 에러 (데드락 에러) 원인과 해결🤔 (0) | 2022.02.22 |
Argument count error 발생 원인 및 해결 (1) | 2022.01.05 |
ORA-1406 (ORACLE error code) 발생이유 및 해결 (1) | 2022.01.03 |